전체 글62 크로스 브라우징과 벤더 프리픽스 ● 크로스 브라우징 표준 웹기술을 채용하여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비슷하게 만듦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지지 않도록 (동등성)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말한다. 또한, 지원할 수 없는 다른 웹 브라우저를 위한 장치를 구현하여 모든 웹 브라우저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 정보로서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방법론적 가이드를 의미하는 것이다. ● 벤더 프리픽스 세계적인 웹 브라우저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이러한 주요 웹 브라우저 공급자가 새로운 실험적인 기능을 제공할 때 이전 버전의 웹 브라우저에 그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접두사(prefix)를 의미한다. 즉, 아직 CSS 권고안에 포함되지 못한 기능이나, .. 2020. 5. 14. 웹 퍼블리셔,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차이 프론트 엔드(Front-End) - 우리가 모니터를 통해 보고 있는 화면을 구성하는 것 (레이아웃, 텍스트, 컬러, 그림 등)들 - 백엔드 개발자가 만든 집의 내부 디자인 담당 프론트엔드를 개발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 - HTML : 웹페이지의 뼈대(전체적인 틀)를 구성 - CSS : HTML로 작업된 웹페이지에 디자인적인 부분(컬러나 폰트 등)을 담당 - JavaScript : 정적인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어줌 프론트엔드 구성 - UX Designer : 사용자에게 최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사이트의 구성 및 기능 담당 - Web Deginer : UX Designer가 구성한 것을 토대로 디자인을 입히는 역할 - Front-End developer : 위의 디자인을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 프론.. 2020. 5. 13. Content Models의 7분류 2020. 5. 13. float, @media 2020. 5. 1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