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TML & CSS21

자바스크립트와 제이쿼리 자바스크립트란? - 웹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작고 가벼운 언어이다. - 웹페이지와 상호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진 스크립트 언어이다. - 작고 빠르기 때문에 웹문서를 동적으로 꾸밀 때 가장 널리 쓰인다. - 웹에 특화된 기술이기 때문에 운영체제나 플랫폼에 상관없이 잘 작동되고 확장성도 높다. 장점 - 빠른 개발이 가능하며, 배우기가 쉽다. (왜냐하면 자바스크립트는 인터프리터 언어여서, 모든 인터프리터 언어의 장점인 배우기 쉽다는 점이 자바스크립트에도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컴파일 언어처럼 중간 단계인 컴파일(Compile), 링크(Link)과정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즉시 실행(Execute)이 가능하다. ) [프로그래밍 언어는 각자의 언어에 맞게 실행된다. 이 때,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가 이해할 .. 2020. 5. 14.
도메인과 URL, 포트 ● URL 인터넷을 서핑할 때 주로 입력하는 '주소'는 도메인(naver.com)이나 IP 주소(예:222.122.195.6)인데, 이는 어디까지나 해당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컴퓨터(예: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특정 정보 자원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URL은 인터넷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는 물론, 이메일, 파일 전송과 같이 컴퓨터 네트워크 정보 자원을 이용하는 모든 형태에 적용된다. ● 도메인 요약 숫자로 이루어진 인터넷상의 컴퓨터 주소를 알기 쉬운 영문으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시스템, 조직, 조직의 종류, 국가 이름 순으로 구분된다. 인터넷상의 컴퓨터 주소를 알기 쉬운 영문으로 표현한 것으로 도메인은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이다... 2020. 5. 14.
크로스 브라우징과 벤더 프리픽스 ● 크로스 브라우징 표준 웹기술을 채용하여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비슷하게 만듦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지지 않도록 (동등성)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말한다. 또한, 지원할 수 없는 다른 웹 브라우저를 위한 장치를 구현하여 모든 웹 브라우저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 정보로서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방법론적 가이드를 의미하는 것이다. ● 벤더 프리픽스 세계적인 웹 브라우저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이러한 주요 웹 브라우저 공급자가 새로운 실험적인 기능을 제공할 때 이전 버전의 웹 브라우저에 그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접두사(prefix)를 의미한다. 즉, 아직 CSS 권고안에 포함되지 못한 기능이나, .. 2020. 5. 14.
웹 퍼블리셔,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차이 프론트 엔드(Front-End) - 우리가 모니터를 통해 보고 있는 화면을 구성하는 것 (레이아웃, 텍스트, 컬러, 그림 등)들 - 백엔드 개발자가 만든 집의 내부 디자인 담당 프론트엔드를 개발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 - HTML : 웹페이지의 뼈대(전체적인 틀)를 구성 - CSS : HTML로 작업된 웹페이지에 디자인적인 부분(컬러나 폰트 등)을 담당 - JavaScript : 정적인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어줌 프론트엔드 구성 - UX Designer : 사용자에게 최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사이트의 구성 및 기능 담당 - Web Deginer : UX Designer가 구성한 것을 토대로 디자인을 입히는 역할 - Front-End developer : 위의 디자인을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 프론.. 2020. 5. 13.